2014.07.04 02:40
저처럼 쌩초보의 질문은 없는거같아서 ㅜㅜ ...질문드려요.
현재 보증금 4천만원 가지고 있구요, 이 집 계약 끝나면 월세가 너무 아까워서 전세집을 알아보려 합니다.
프리랜서지만 의료보험 및 소득공제 따져보면 1금융권 (신한은행)에서 1억정도는 빌릴 수 있더군요.
1.4억짜리 전세집을 찾으니 꽤 있어서.. 1억만 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고 합니다.
헌데 막상 은행의 돈을 빌리려니... 너무 큰 돈이라서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ㅜㅜ
<1> 1억 대출 받으면 1억 그대로 주나요? 혹시 대출 수수료 막 이거저거그거저거 빼면서 9천얼마..이렇게 대출해주는건 아니겠죠? ㅜㅜ
<2> 집계약 끝나고 만기상환으로 하려하는데 그러면 매월 이자 3~40만원 정도만 은행에 지불하면 되나요?
<3> 만기시 은행에 전세금을 갚아야 하는데 주인이 사정이 있어 돈을 안주거나 문제가 생겨 상환날짜가 미뤄지면 어떻게 되나요?
예를들어 만기가 2100년 5월인데 주인이 7월에 돈을 주겠다고 한다던지.. 이런 경우요.
<4> 이런곳에 완전 문외한인 제가 전세자금대출로 1억을 빌린다고 했을때 가장 우려되는 주의점 몇 가지만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?
혹시 지나가다 시간이 나시면 부탁드립니다 :)
2014.07.04 09:06
2014.07.04 16:17
2014.07.08 11:00
2014.07.07 16:26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해외 취업 광고 주의 | 개발자 | 2024.07.01 | 3804 |
198 | 돈없는자의 전세자금대출 관련문의..... [6] | 슬픈남 | 2015.07.06 | 10609 |
197 | 원리금균등상환방식 ~알려주세요~ | 작은별 | 2015.07.05 | 10013 |
196 | 전세자금대출문의 [1] | 으유유 | 2015.06.05 | 14422 |
195 | 취득세 등록세 문의 드리옵니다. | 가장님 | 2015.05.31 | 10839 |
194 |
[자녀 장려금] 신청 안내 - 6/1 까지
![]() | 개발자 | 2015.05.25 | 15656 |
193 | 주택 구입자금대출 [1] | 모닝 | 2015.05.15 | 11180 |
192 | 보금자리론 10년 vs 15년 | 찬이 | 2015.04.15 | 17645 |
191 | 디딤돌 대출 자격 [1] | 대출 | 2015.04.06 | 13174 |
190 | 대출 가능 여부 | 대구 | 2015.03.30 | 12240 |
189 | 안심전환대출로 바꿔야할까요? [3] | 1122 | 2015.03.25 | 13677 |
188 | 전세대출 갈아타기.. [1] | 방탕아 | 2015.03.21 | 10791 |
187 | 대출관련문의 [2] | 미쓰터 | 2015.03.09 | 10734 |
186 | 20년된 아파트 구입시 대출을 20년상환으로 할수 있나요? [1] | 궁금이 | 2015.02.25 | 14353 |
185 | 대출문의 드립니다. [1] | 레디토액 | 2015.02.19 | 10840 |
184 | 오피스텔 담보 대출은 어디가 조건이 좋나요? | 란테르트 | 2015.02.16 | 13676 |
183 | 건강보험료 2015년 인상분(6.07%) 적용 - 연봉 계산기 | 개발자 | 2015.02.13 | 11550 |
182 | 대출 금액 문의 [1] | fik | 2015.02.11 | 11213 |
181 | 배우자의 기대출이 본인 일반전세대출에 영향을 끼치나요? [1] | 고맙습니다 | 2015.02.02 | 11935 |
180 | 전세대출 문의 [1] | 크히히힝 | 2015.01.29 | 11078 |
179 | 대출문의드립니다 [1] | 세류동 | 2015.01.27 | 11617 |
2. '만기일시상환'일 경우, 상환일(보통 2년단위로 연장)까지는 월이자만 납부하시면 됩니다.
3. 일단 만기일전에 은행에 '2년 단위 연장'을 신청하시고, 7월에 퇴거 및 전세금 반환을 동시에 하시면 됩니다.
4. 1금융권에서 본인의 주거래 은행에서 대출 받을 경우, 대출 관련하여 고민하실 것 은 없습니다.
그보다 중요한건 전세의 경우 네이버에서 '전세금'만 검색해봐도 많은 글이 나오는데 다음 사항들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.
- 집시세 대비 전세가액이 충분한지.... (아파트는 지역에 따라 70~80%이하가 적정가 등)
- 전세금 보장을 받기 위해 계약전 등기부 등본 확인, 입주시 전입신고, 퇴거와 전세금 반환을 동시에 할 것.(돈받기 전까지 방/주민등록 빼면 안됨 등)
* 전세는 꼭 부동산을 통해 하시고, 가능하면 경험있는 어르신들과 동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