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4.07.04 02:40
저처럼 쌩초보의 질문은 없는거같아서 ㅜㅜ ...질문드려요.
현재 보증금 4천만원 가지고 있구요, 이 집 계약 끝나면 월세가 너무 아까워서 전세집을 알아보려 합니다.
프리랜서지만 의료보험 및 소득공제 따져보면 1금융권 (신한은행)에서 1억정도는 빌릴 수 있더군요.
1.4억짜리 전세집을 찾으니 꽤 있어서.. 1억만 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고 합니다.
헌데 막상 은행의 돈을 빌리려니... 너무 큰 돈이라서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ㅜㅜ
<1> 1억 대출 받으면 1억 그대로 주나요? 혹시 대출 수수료 막 이거저거그거저거 빼면서 9천얼마..이렇게 대출해주는건 아니겠죠? ㅜㅜ
<2> 집계약 끝나고 만기상환으로 하려하는데 그러면 매월 이자 3~40만원 정도만 은행에 지불하면 되나요?
<3> 만기시 은행에 전세금을 갚아야 하는데 주인이 사정이 있어 돈을 안주거나 문제가 생겨 상환날짜가 미뤄지면 어떻게 되나요?
예를들어 만기가 2100년 5월인데 주인이 7월에 돈을 주겠다고 한다던지.. 이런 경우요.
<4> 이런곳에 완전 문외한인 제가 전세자금대출로 1억을 빌린다고 했을때 가장 우려되는 주의점 몇 가지만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?
혹시 지나가다 시간이 나시면 부탁드립니다 :)
2014.07.04 09:06
2014.07.04 16:17
2014.07.08 11:00
2014.07.07 16:26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해외 취업 광고 주의 | 개발자 | 2024.07.01 | 3803 |
178 | 마이너스 통장 이자 계산 문의 [3] | 우왕굿 | 2015.01.26 | 29843 |
177 | 사회초년생 전세 대출 문의합니다 [3] | 사회 초년생 | 2015.01.25 | 13394 |
176 | 연봉계산기 (연봉 실수령액 표) 2015년도 그대로인가요? [1] | 전현무 | 2015.01.25 | 13992 |
175 | 대출문의 [2] | 장상수 | 2015.01.25 | 11071 |
174 | 대출 어디에서 하는게 좋을까요? [4] | 간장맨 | 2015.01.18 | 11717 |
173 | 주택 청약 저축에 관한 질문이있습니다 [1] | 김김김 | 2015.01.17 | 11597 |
172 | 대출 관련 문의드립니다.. [1] | 오렌지 | 2015.01.13 | 11367 |
171 | 신혼부부 전세대출 문의드립니다. [9] | 예비부부 | 2015.01.12 | 12759 |
170 | 갈아타기 대출문의 드립니다. | cutemint | 2014.12.18 | 11719 |
169 | 대출문의 [1] | 팔카오 | 2014.12.16 | 11232 |
168 | 사랑은 피지 않고 시들지 않는다 | 김미성 | 2014.12.04 | 12542 |
167 | 저소득 전세자금 대출 이자율? [2] | 가정주부 | 2014.12.03 | 12964 |
166 | 달에 대출금을 얼마씩 갚아야할까요? [4] | 호로록 | 2014.11.25 | 13730 |
165 | 오피스텔 구매하는건 퇴직금 중간정산도 못 받는군요. [1] | 나그네 | 2014.11.17 | 14130 |
164 | 전세 대출문의 [1] | 집좀사자 | 2014.11.17 | 11622 |
163 | 전세 끼고 오피스텔 구매하려고 합니다. [2] | 나그네 | 2014.10.27 | 15128 |
162 | 대출연봉계산 문의요.. | 일산딸 | 2014.10.24 | 14042 |
161 | 월상환금 | 맞나요 | 2014.10.19 | 14660 |
160 | 주택 대출문의 | 루돌프 | 2014.10.19 | 14040 |
159 | 대출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. | 새댁이 | 2014.10.16 | 12246 |
2. '만기일시상환'일 경우, 상환일(보통 2년단위로 연장)까지는 월이자만 납부하시면 됩니다.
3. 일단 만기일전에 은행에 '2년 단위 연장'을 신청하시고, 7월에 퇴거 및 전세금 반환을 동시에 하시면 됩니다.
4. 1금융권에서 본인의 주거래 은행에서 대출 받을 경우, 대출 관련하여 고민하실 것 은 없습니다.
그보다 중요한건 전세의 경우 네이버에서 '전세금'만 검색해봐도 많은 글이 나오는데 다음 사항들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.
- 집시세 대비 전세가액이 충분한지.... (아파트는 지역에 따라 70~80%이하가 적정가 등)
- 전세금 보장을 받기 위해 계약전 등기부 등본 확인, 입주시 전입신고, 퇴거와 전세금 반환을 동시에 할 것.(돈받기 전까지 방/주민등록 빼면 안됨 등)
* 전세는 꼭 부동산을 통해 하시고, 가능하면 경험있는 어르신들과 동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